불룩한 브라운관 TV가 사라지면서 평평한 TV들이 많이 나왔습니다. 예전 브라운관의 모습과 비교해서 이들을 평면TV라고 부르기도 했었지요. 보면 모두 비슷비슷해 보이는데 이름을 다르게 붙여놔서 어떤 걸 구입해야 할지 망설이게 만들기도 합니다. 이들 TV는 평면을 어떻게 만드느냐에 따라 다른 이름이 붙었습니다.
PDP: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약자로서 기체를 플라즈마라 불리는 특수한 상태로 만든 다음 전류를 통하게 해 빛을 내는 원리입니다. 평면TV가 처음 나왔을 때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잔상이 거의 없고, 보는 각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지 않으며 색상 표현이 무척 좋습니다. 그러나 전력을 많이 소비하고 발열이 심하며 수명이 상대적으로 짧아서 뒤에 설명할 LCD에 밀려나서 지금은 거의 생산되지 않습니다.
LCD: 액정 디스플레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현재 대부분의 컴퓨터 모니터와 TV화면에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뒤에서 빛을 발하게 한 다음 그 빛을 액정에 통과시켜 빛의 세기나 색깔 등을 조정하는 원리입니다. PDP에 비해 전력을 적게 먹고 발열문제가 크지 않으며 수명도 깁니다만, 색상 표현이나 잔상이 남는 문제 그리고 특정 부위의 색깔이 변하는 문제 등이 남아 있기도 합니다. 하지만 기술 개발로 인해 초기에 비해 성능이 좋아진 제품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LED: LED는 발광 다이오드를 뜻하는데, 오늘날 조명 기구의 상당수를 대체해나가고 있는 제품입니다. 그러나 현재 LED TV라고 불리는 것들은 LED와 LCD의 기술이 섞인 상태의 TV입니다. 즉 LED를 이용해 뒤에서 빛을 발하게 한 다음 액정을 통과시켜 조정합니다. LED만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는 야구장이나 축구장, 그리고 건물의 옥상에 설치된 전광판 등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의 LED TV는 두께가 LCD TV보다 얇으며 제품 수명이 더 길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OLED: LED를 만들 때 유기물질을 이용하여 만들기 때문에 유기 발광 다이오드라고 불립니다. 모든 면에서 위의 기술들보다는 뛰어나지만, LCD보다 아직 전력소모가 많습니다. 그리고 번인 현상이라고 불리는 화면의 색이 변하는 현상이 있습니다. 아직은 상대적으로 비싼 편이지만 장기적으로 다른 디스플레이들을 대체해 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댓글을 남겨주세요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