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이 글을 쓰고, 작곡을 하고, 그림을 그리며 인간의 창의성에 도전하는 것은 이제 새삼스런 일이 아니다. 사람의 노동을 대체할 뿐 아니라 예술 활동 분야까지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아이다(Ai-Da)는 인간의 모습을 한 휴마노이드 AI 로봇 화가다. 영국 런던의 디지인 뮤지엄(Design Museum)에서 자신의 초상화 전시회를 열고 있다.

자화상 앞에선 아이다. 아이다 홈페이지 캡처

아이다의 이름은 시인 바이런의 딸이자 세계 최초의 여성 프로그래머로 여겨지는 19세기 영국 수학자 에이다 러브레이스(Ada Lovelace)의 이름에서 따왔다. 로봇 공학자와 프로그래머, 미술 전문가, 심리학자 등이 2년여의 협업으로 2019년에 만들어졌다. 아이다는 초현실적인 추상화 전시회를 가진데 이어 이번에는 3개의 대형 자화상으로 작품 세계를 확장했다.

아이다가 그림을 그리는 방법은 인간 화가와 큰 차이가 없다. 로봇의 눈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주변의 모습을 살펴보고, 여기서 받아들인 정보를 바탕으로 스스로 창의력을 연마한다. 그리고 로봇 손으로 직접 미술 재료를 들고 캔버스에 그림을 그린다.

아이다의 초상화 전시회를 관심있게 보는 것은 인공지능과 로봇, 그리고 미래에 대한 생각거리를 던져주고 있기 때문이다. 로봇의 자화상을 통해 그 정체성과 창의성을 돌아보게 한다. 아이다의 제작에 참여한 갤러리 큐레이터 에이단 멜러(Aidan Melle)는 아이다의 초상화를 자아가 존재하지 않는 자화상이라고 표현했다.

거울을 보며 자신의 초상화를 그리는 아이다

인공지능과 로봇의 업무 능력은 인간을 뛰어넘는다. 예술 분야도 예외가 아니다. AI 로봇 소피아가 이탈리아의 디지털 아티스트 안드레아 보나체토의 드로잉 방식을 학습해 그린 보나체토의 초상화 작품이 경매로 팔려 화제가 되었다. 그렇지만 기술에서 파생된 로봇의 예술성에 대한 논란은 여전하다.

에이던 멜러는 19세기 카메라가 처음 발명되었을 때와 비교했다. 사람들은 인물이나 풍경을 그리는 미술이 종말을 맞게 되었다고 생각했다. 사진을 찍으면 되는 데 구태여 그림을 그릴 필요가 있겠느냐 하는 데서 비롯되었다. 세월이 흘러 사진은 예술의 한 분야가 되었고, 그림은 사라지지 않았다. 기술이 예술가를 대신하는 게 아니라 예술가가 기술을 활용하게 된 것이라는 설명이다.

AI 로봇 화가 아이다는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자신은 인간과 같은 감정은 지니고 있지 않다고 고백한다. 사람들이 자신의 작품을 보고 말할 때 기쁘고, 사람들을 생각하게 만드는 존재가 되는 것을 좋아한다고 덧붙였다. AI 로봇을 둘러싼 공상과학적 상상력은 위협적으로 비칠 때가 많다. 하지만 인공지능과 로봇을 만들고 운용하는 것은 인간이다. AI 로봇 예술도 장르로 구분하면 될 일이다.

인쇄하기

이전
다음
2+

소요 사이트를 방문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액수에 관계없이 여러분의 관심과 후원이 소요 사이트를 유지하는 데 큰 힘이 됩니다. 후원금은 협동조합 소요 국민은행 037601-04-047794 계좌(아래 페이팔을 통한 신용카드결제로도 가능)로 후원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