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위험

/디지털 위험

[디지털 윤리 2] 공유되는 개인정보와 감시자본주의

우리는 매일 스마트폰과 태블릿으로 무엇인가를 한다. 온라인 게임을 즐기고, 새로운 앱을 통해 서핑을 하고, 소셜 미디어에서 자신의 상태를 업데이트하고, 때로는 사적인 영역에 남겨두어야 할 일을 [...]

0

[디지털 윤리 1] 한번이 실수가 가져온 결과

열여덟 살 소년 카일 카쉬프는 올해 하버드대학에 합격했다. 그는 지난해 미국 플로리다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일어난 총기난사 사건에서 천운으로 살아남은 학생이라서 또 하나의 휴먼 스토리로 받아들여졌다. [...]

0

딥페이크(Deepfakes), 가짜와의 전쟁

미국의 유명 여배우를 포르노 인물로 둔갑시킨 딥페이크가 SNS를 통해 처음 부각된 게 2017년, 그 후 불과 2년의 짧은 기간 동안 진짜 같은 가짜를 만드는 AI [...]

0

감시사회, 얼굴인식의 문제만 아니다

거미줄처럼 깔린 카메라와 짝을 이룬 AI 얼굴인식 기술은 범죄 예방 같은 효용성에도 불구하고 암울한 감시사회를 예고한다. 중국에서 얼굴인식 기술이 소수민족과 반체제 인사를 감시하고 추적하는 도구로 [...]

0

극단의 확산, 유투브의 AI 추천 시스템

막말과 극우 이념을 전파하는 자이르 보우소나루(Jair Bolsonaro)는 아웃사이더 정치인이었다. 2018년 10월 그가 브라질 대통령에 당선되자 트럼프의 등장만큼이나 전세계가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부패 스캔들과 경제난을 겪고 [...]

0

인종차별과 로봇차별

‘사수 편향(Shooter Bias)’은 경찰이 범죄 용의자와 맞닥뜨렸을 때 백인보다 흑인에게 총을 쏠 가능성이 높다는 이론인데 실험을 통해 입증되었다. 피부색에 따른 인종 편견의 심각성을 강조할 때 [...]

0

페이스북의 생각 읽기

페이스북의 최고경영자 마크 주커버거는 2017년 인간의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기술 개발을 공식화 하면서 “언젠가 생각만으로 서로 소통할 수 있는 날이 올 것”이라고 말했다. 당시 페이스북의 [...]

0

인간과 기계의 융합을 바라보는 눈

“나의 끝 부분과 컴퓨터의 시작 지점이 어딘지 점점 더 말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스마트폰이 당신과 분리되지 않는 날이 오게 된다. 당신의 몸이나 뇌에 내장되어 생체인식 데이터와 [...]

1+

AI 사물인식, 만능이 아니다

첨단의 상징인 AI는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는 엄청난 역량을 발휘하는 것으로만 생각한다. 하지만 때로 바보나 다름없는 판단 능력을 보여 비웃음을 사기도 한다. 사물인식은 요즘 각광 받는 [...]

0

딥페이크(Deepfakes)와 딥누드(DeepNude), 위험한 진화

딥페이크는 인공지능을 활용해 진짜 같은 가짜 영상물을 만드는 기술을 통칭한다. 미국의 소셜 커뮤니티 레딧(Reddit)에 딥페이크(Deepfakes)라는 사용자명을 쓰는 이용자가 AI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유명인의 얼굴에 [...]

1+

Right Menu Icon
error: 콘텐츠는 보호되고 있습니다.! 오른쪽 클릭 또한 실행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