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아이들은 말을 배우기 전부터 스마트폰을 먼저 만집니다. 아직 숫자도 모르는 아이가 유튜브 화면을 넘기고, 좋아하는 캐릭터를 목소리로 호출합니다.
“아리야, 뽀로로 틀어줘.”
“시리야, 오늘 날씨 어때?”
그 모습이 신기하고 귀여워 보이지만, 문득 이런 생각이 들지 않으신가요?
‘저 아이는 지금 무엇을 배우고 있는 걸까?’
AI는 우리 아이의 첫 번째 친구입니다
아이에게 AI는 ‘기계’가 아닙니다. ‘말을 걸면 대답해주는 존재’, ‘재밌는 걸 틀어주는 존재’, 때로는 ‘엄마보다 더 빨리 답을 알려주는 존재’입니다.
이제 우리 아이들은 AI와 함께 자라며, 그것을 당연한 일상으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이 시대를 살아갈 아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단순한 ‘기술 습득’이 아니라, 기술과 함께 살아가는 태도와 관점입니다.
아이에게 스마트폰을 줄 때, 유튜브를 보여줄 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해보신 적 있나요?
• “지금 이 화면 속 정보는 누가 만든 걸까?”
• “기계는 왜 때때로 틀릴 수도 있을까?”
• “기계와 사람은 무엇이 다를까?”
이런 질문은 아직 너무 이르다고 느끼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AI를 유치원에서 가르치기엔 이미 늦을 수 있다고요. 뇌 발달이 폭발적으로 일어나는 유아기야말로, 인간과 기계의 차이를 배우고, 기술의 한계를 경험하며, 진짜 ‘사고력’을 기를 수 있는 시기라는 것입니다.
금지가 아닌 ‘가르침’이 필요한 시대
‘디지털 금식’도 하나의 선택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무조건 멀리하는 것만이 능사일까요? 오히려 아이들이 AI와 기술을 일찍 경험하는 만큼, 그 경험을 제대로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어른의 역할이 더 중요해졌습니다.
“왜 그럴까?” “정말 그럴까?” “다른 방법은 없을까?”
이런 질문을 일상에서 함께 나누는 부모가, 아이에게는 최고의 AI 교육자입니다.
부모도 함께 배워야 합니다
사실 두려운 건, 아이가 아니라 부모인 경우가 많습니다.
AI는 어렵고, 나와는 상관없는 세상의 이야기 같고, 교육은 유치원이나 학교가 알아서 해주기를 바라는 마음이 솔직한 심정일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아이는 하루하루 그 기술과 함께 자라고 있습니다.
부모가 AI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모습, 기술의 원리를 함께 궁금해하는 자세, 정보의 옳고 그름을 함께 이야기하는 시간이 그 어떤 교육보다 강력한 메시지를 아이에게 전해줍니다.
함께 질문합시다
“우리 아이가 자라서 AI를 두려워하지 않고, 똑똑하게 다루고, 인간의 고유한 가치를 지킬 수 있으려면, 나는 지금 무엇을 해야 할까?”
이 질문이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출발점입니다.
아이와 함께 미래를 살아갈 준비, 그 시작은 부모의 질문에서 비롯됩니다.
댓글을 남겨주세요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