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플라토

/디지털 플라토

[VR 스토리텔링] 다큐멘터리 <시드라 위의 구름>, 공감장치

  ‘역지사지(易地思之)’는 상대편의 ‘처지(處地)’에서 생각해본다는 의미다. 처지와 함께 많이 쓰이는 ‘입장(立場)’이라는 단어는 일본어 투 생활용어로서 국립국어원에서 ‘처지’로 순화하기를 권하고 있다. 위 표현들은 공통적으로 ‘지(地)’, ‘처(處)’, [...]

1+

[VR 스토리텔링] 애니메이션 <특별배달>, 메탈사실주의

  뉴미디어 이론가인 레프 마노비치(Lev Manovich)는 메타사실주의(metarealism)를 고전적 사실주의(classical realism)와 대비시켜 설명한 바 있다. 고전적 사실주의가 주체로 하여금 환영(illusion)이 지속되는 내내 그 환영을 온전히 수용하게 [...]

0

소크라테스가 다시 태어난다면…

소크라테스의 철학은 인류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그런데, 막상 소크라테스가 쓴 책은 찾아볼 수가 없습니다. 놀랍게도 그는 글쓰기를 싫어했습니다. 그 이유를 [...]

0

글쓴이: | 2019년 5월 16일. 목요일|카테고리: 디지털 플라토, 디지털 플라토 일반|태그: , , , , |0 댓글

[VR 스토리텔링] 광고 <박보영 360 VR> 2편, 1인칭 시점과 아바타

  영화이론가인 루이스 자네티(Louis Giannetti)는 영화에서 1인칭 시점의 카메라를 관철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보았다. 관객이 주인공의 모습을 볼 수 없을 뿐 아니라 주인공이 사람과 사건에 반응하는 [...]

1+

[인문학자가 보는 디지털세상] 로봇이 자유를 원한다면?

"지나치게 사랑하면 아이도 답답하죠. 전 아이가 노는것을 것을 무덤덤 하게 지켜봤습니다. 어차피 일어날 일은 일어나게 마련이니까요. 호호호." 여성학자 박혜란 씨가 TV에 나와 한 인터뷰 내용이다. [...]

0

글쓴이: | 2019년 4월 29일. 월요일|카테고리: 디지털 플라토, 디지털 플라토 일반|태그: , , , , |0 댓글

[VR 스토리텔링] 광고 <좋은 아침입니다>, 공간분할의 자기반영성

  1990년대에 옷의 솔기를 노출시키는 해체주의 패션이 유행했던 적이 있다. 솔기는 2차원의 옷감이 3차원의 인체를 감싸야 하는 딜레마의 표현이다. 선녀의 옷에는 솔기가 없다는 ‘천의무봉(天衣無縫)’은 이음새 [...]

0

[인문학자가 보는 디지털세상] 인간은 기억을 하며 살아간다

한 마리 개가 걸어가는데 어떤 사람이 와서 옆구리를 살짝 민다. 개는 기우뚱했지만 곧바로 균형을 잡고 앞으로 전진한다. 그러자 또 누군가 다가와서 이번에는 좀 세게 그 [...]

0

글쓴이: | 2019년 4월 17일. 수요일|카테고리: 디지털 플라토, 디지털 플라토 일반|태그: , , , , , |0 댓글

[VR 스토리텔링] 트레일러 <개들의 섬: 제작 뒷이야기>, 페이크 다큐멘터리의 가상현실

‘페이크 다큐멘터리(fake documentary)’는 현실을 사실적으로 다루는 다큐멘터리인 척 하지만 실제로는 연출된 현실을 담는다. 조롱한다는 의미의 ‘모크(mock)’를 다큐멘터리와 합성하여 ‘모큐멘터리(mockumentary)’라고 부르기도 한다. 페이크 다큐멘터리는 다큐멘터리 장르의 [...]

0

Right Menu Icon
error: 콘텐츠는 보호되고 있습니다.! 오른쪽 클릭 또한 실행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