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위험

/디지털 위험

동영상 스트리밍 시대, 잃는 것과 얻는 것

넷플릭스가 국회 국정감사에서 도마에 올랐다. 의원들은 트래픽에 부담을 주는데도 망 사용료를 내지 않고, 세금을 회피하고 있으며, 고용 창출에도 소극적이라고 몰아붙였다. 국내에서 막대한 돈을 벌면서 사회적 [...]

1+

소셜 딜레마의 딜레마

페이스북이 SNS의 해악을 다룬 넷플릭스의 다큐멘터리 ‘소셜 딜레마’를 반박하는 입장문을 냈다. SNS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은 다루지 않고 선정주의에 매몰되었다는 주장이다. 넷플릭스도 이 다큐를 누구에게 [...]

3+

인공지능이 사람의 신용을 평가하는 시대

“Credit is a system whereby a person who can not pay gets another person who can not pay to guarantee that he can pay." "신용은 [...]

6+

AI는 인종차별을 극복할 수 있을까

‘흑인의 목숨도 소중하다’는 ‘블랙 라이브스 매터(Black Lives Matter)’, 인종차별 반대 시위는 노예 시대를 상징하던 깃발과 상징을 끌어내리고, 과거 역사적 인물의 언행을 캐내고 동상을 철거하는 미국판 [...]

1+

편향적 뉴스 소비 행태의 나라

서로 다른 생각과 견해를 나누다 상처를 받을 때가 있다. 논쟁적인 사안의 경우 더욱 그렇다. 목소리를 높이고 얼굴을 붉히며 종국에는 싸움으로 번진다. 머리 속에 고착화 한 [...]

1+

중국 텐센트, 인공지능을 이용한 게임 중독 방지 실험

텐센트는 우리나라의 카카오톡과 유사한 위챗이라는 메시징 서비스를 하고 있는 중국 최대 IT 기업 중의 하나이다. 위챗은 단순히 메시징만 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플랫폼으로서 게임, 전자상거래등 [...]

1+

글쓴이: | 2020년 6월 22일. 월요일|카테고리: 디지털 위험, 디지털 위험 일반|태그: , , , , |0 댓글

딥페이크와 의심사회

기술의 발달과 소셜 미디어의 대중화는 진실과 허구의 경계를 허물고, 가짜뉴스의 범람을 가져왔다. 팩트체크는 저널리즘의 새로운 역할로 자리잡았고, 또한 현대인이 반드시 지녀야 할 온라인 생활규범이 되었다. [...]

2+

사이버 괴롭힘 해결을 위한 사회적 노력이 시급하다

지난 5월, NHK 등 외신은 넷플릭스 리얼리티 쇼에 출연 한 후 사이버 괴롭힘을 경험 한 일본의 프로레슬링 선수인 키마 키무라가 22세의 나이에 자살하였다는 소식을 전했다. [...]

4+

[외신 번역] 인공지능의 5가지 실재하는 위험

  원문 보기: 5 Real Dangers of AI 지난 몇 년간, 인공지능은 놀라운 속도로 우리의 기술을 발전시켰다. 노동집약적인 일자리를 완전히 자동화하는 것부터 폐암 진단까지, 인공지능은 [...]

2+

기술의 코로나 마케팅, 그 뒤

트위터가 코로나 사태 이후에도 직원들이 원한다면 영구 재택근무제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재택근무제의 대중화를 이끄는 선도적인 선언이다. 하지만 현장을 고수해야 하는 제조업이나 건설, 물류, 오프라인 소매업 등은 [...]

5+

Right Menu Icon
error: 콘텐츠는 보호되고 있습니다.! 오른쪽 클릭 또한 실행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