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고로 대중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한 인공지능은 놀라운 능력과 발전 속도로 우리 삶과 사회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그 변화는 과거의 것과 너무 달라서 희망과 함께 논란과 우려의 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딥페이크 기술은 그 중의 하나이다.
심층학습(deep learning)’과 ‘가짜(fake)’라는 의미를 담은 딥페이크는 인공지능의 고급이미지 생성 기술을 사용해 합성 방식으로 만드는 ‘진짜 같은 가짜 동영상’을 의미한다.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을 기반으로 한 딥페이크 기술은 영상뿐 아니라 음성 변조·생성에도 이용되고 있다.
원본과 차이를 느낄 수 없을 정도로 정교한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이스라엘 기업이 만든 ‘캐니 인공지능(Canny AI)’은 동영상을 다른 언어로 더빙하는데 딥페이크 기술을 이용하고 있다. 앞으로 이 기술은 영화나 TV 프로그램의 더빙이나, 과거의 인물을 영상에서 되살아나게 하는 등 콘텐츠 제작 방식을 다양화하고 제작비를 절감할 수 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데이비드 베컴의 말라리아 퇴치 캠페인 영상
딥페이크가 가장 많이 악용되고 있는 부분은 음란물 제작이다. 네덜란드 사이버보안 기업 ‘딥 트레이스’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확인된 딥페이크는 1만4678건으로, 전년 대비 84% 증가했다. 이 가운데 96%가 유명 할리우드 여배우 등의 얼굴을 정교하게 끼워 넣은 포르노물로 파악된다. 일본에서도 2020년에 여성 연예인 딥페이크를 제작·공개한 사람이 적발된 사례가 발생했다.
이런 딥페이크 음란물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기 위하여 각 나라는 법과 제도를 마련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올해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 딥페이크 음란물에 대한 명확한 규정을 신설하였다. 이 법은 딥페이크 음란물을 제작하거나 반포한 사람을 처벌할 수 있지만 단순 소지한 사람은 처벌받지 않는다는 한계도 있다.
사회적 캠페인에 이 기술을 사용하려는 시도가 논란이 되기도 한다. 최근 비영리 단체인 RepresentUS는 미국 대선을 앞두고 김정은과 푸틴을 딥페이크 기술로 미국의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인물들로 그려내서 투표참여를 이끌어 내려하였다. 이 단체는 광고를 CNN, Fox, NBC에 내보내려고 하였으나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는 이유로 그 의도와 관계없이 모두 거절되었다.
페이스북과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거대 IT 기업들은 딥페이크 영상을 탐지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하지만, 기술의 발전 속도를 볼 때 ‘창과 방패’의 관계처럼 쉽지 않은 싸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결국, 문제의 해결책은 기술을 올바르게 사용하려는 개발자와 사용자의 높은 윤리의식과 그것의 위험성을 인식하고 악용을 방지하려는 시민사회의 노력에 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기술의 윤리적 사용이 더욱 중요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기술의 발전이 거듭될수록 그 영향력에 대해 더욱 깊이 고민하고 사용해야한다는 생각을 되새기게 하는 글이었습니다. 좋은 글 자주 올려주세요^^